최근에 코로나19 확진자가 감소 추세에 접어들게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외출을 감행함과 동시에 떠나고팠던 간절함을 이루기 위한 여행 계획을 세우느라 분주한데요, 저 역시도 그런 의미에서 설레는 마음을 감출 수가 없는 요즘이랍니다. 그중에서도 해외가 아닌 국내여행을 준비하는 분들이라면 숙소를 찾을 때 한 번쯤 국립자연휴양림 홈페이지(숲나들e)에 접속해 본 경험이 있을 거예요.
앞서 언급한 숲나들e 사이트에서는 전국의 자연휴양림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곧바로 예약까지 가능함에 따라 편리한 시스템이 갖춰져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회원가입만 해놓으면 필요할 때 사용하기 딱 좋아요. 뿐만 아니라 다른 숙소들에 비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장점이라지요.
덧붙여 인천/경기(19), 강원(28), 충북(21), 대전/충남(17), 대구/경북(28), 부산/경남(22), 전북(12), 전남(16), 제주(4)까지 지역별 자연휴양림 정보 또한 원할 때마다 찾아보는 일이 어렵지 않아 유용해요. 이와 함께 선착순, 주말추첨제, 성수기추첨제, 바우처우선, 장애인우선, 다자녀우선 예약정책 등이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으니 이 부분도 활용을 하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다만, 2022년 6월부터 국립자연휴양림 객실 시설사용료 인상에 따라 운영 중인 숙소의 숙박 요금이 기존보다 조금 더 오를 예정이므로 이 점을 감안해서 예약을 해주시길 바라는 바입니다. 국립자연휴양림 숲나들이 공지사항에 따르자면, 2022년 4월 6일을 기점으로 '국립자연휴양림 입장료 및 시설사용료 기준'이 개정됨으로써 2022년 6월 1일부터 객실 시설사용료의 가격이 인상된다고 합니다.
국립자연휴양림 객실 시설사용료는 2019년에 인상된 이후로 3년 동안 가격이 동결되어 왔다고 해요. 뿐만 아니라 코로나19의 확산이 이루어지는 동안 요금인상 시기를 보류해 왔으나 지속적인 물가의 흐름 속 인건비 및 운영비 증가, 매년 거듭되는 경영수지 적자 등으로 말미암아 부득이하게 요금을 올리는 결정을 하게 되었다고 하니 이 점을 머리 속에 넣어두셔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로 인하여 마주하게 된 국유자연휴양림 입장료 및 시설사용료 기준은 위와 같습니다. 입장료, 주차료, 야영시설(노지야영장, 야영데크, 오토캠핑장, 캐빈, 캠핑카 야영장), 모노레일 가격은 변함이 없고요. 숲속의 집 및 연립동과 산림문화휴양관으로 지칭되는 숙소 객실의 숙박 요금에만 변화가 생긴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주로 4인실을 애용하는 편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한 번 살펴볼게요. 숲속의 집 및 연립동은 4인실 기준으로 비수기 주중 요금은 45,000원이고 성수기 주말 요금은 82,000원이네요. 반면에 산림문화휴양관 4인실은 비수기 주중 요금이 44,000원이며 성수기 주말 요금이 76,000원으로 책정된 게 눈에 띄었어요.
평일 비수기를 기준으로 4인실을 4만원에 다녀올 수 있었던 때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가격이 조금 오르긴 했다는 걸 인정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펜션보다 훨씬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어서 앞으로도 자주 애용하게 될 거라는 예감이 들었습니다. 근데 같은 4인실이라고 하더라도 몇 평이냐에 따라서 가격의 차이가 존재하니까 이 점도 미리 체크를 해두시길 바랄게요. 이 부분은 여러분이 가게 될 여행지에 존재하는 자연휴양림을 검색해서 알아보는 게 도움이 됩니다.
지금까지 국립자연휴양림 숙소 객실 시설사용료(숙소 요금) 인상 정보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여태껏 이야기한 내용은 2022년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것임을 잊지 마세요. 그리고 숙소부터 미리 잡고 여행을 떠나도 괜찮은 분들이라면 국립자연휴양림 홈페이지 속 테마 카테고리를 통하여 목적지롤 정해봐도 괜찮겠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숲나들e 홈페이지에서 직접 만나보세요!
숲나들e
숲나들e, 숲나들이, 자연휴양림, 휴양림, 자연, 휴식
www.foresttrip.go.kr
'Information Center > 생활정보 수집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레일톡에서의 승차권 티켓 구입 예약 예매 가능기간은 열차 출발 한 달 전부터입니다 (0) | 2022.06.06 |
---|---|
댓개는 숫자로 몇 개를 의미하는 걸까요? (feat. 경상도 사투리) (0) | 2022.06.04 |
부활절의 유래와 삶은 달걀 나눠주는 전통 풍습에 대해 알아보아요 (0) | 2022.04.16 |
구강관리 필수품 칫솔과 치실(치간칫솔)의 올바른 사용순서에 대해 알아보아요 (0) | 2022.04.07 |
자동차 번호판 색깔의 의미와 여러 종류에 대해 살펴보아요 (0) | 202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