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겨울은 생각보다 눈이 많이 내리지 않아서 새하얀 거리의 풍경을 쉽게 볼 수 없는 것이 사실인데요, 그래서 눈이 와줬으면 싶은 순간이 생기게 되더라고요. 그 와중에 문득 떠오르는 의문이 있었으니, 그건 바로 눈이 내리는 이유에 대한 거였습니다. 눈은 대체 왜 내리는 걸까요?
눈이 왜 내리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기에 앞서 알아두면 좋은 것은 바로 눈의 결정이 생겨나는 원리입니다. 구름 속의 물방울이 증발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증기가 얼음 결정이 만들어질 때 생겨나는 고체 입자인 빙정핵에 달라붙고, 이것이 얼음으로 변함에 따라 눈의 결정이 생기게 되는 것이라고 해요. 이러한 원리는 추운 겨울에 바깥에 세워둔 자동차의 유리창에 생기는 성에의 원리와도 같다고 하네요. 머리 속에 이미지를 떠올리면 이해가 쉬운데 말로 풀어놓으니 생각보다 어렵네요^^;
결론적으로, 앞서 설명한 눈 결정이 떨어질 때 서로 뭉치게 되면서 이것이 눈송이로 변하게 되는 거랍니다. 이로 인해 눈 결정이 잘 뭉쳐지지 않는 추운 날에는 가루눈이 내리고, 포근한 날씨엔 살짝 녹은 눈송이가 서로 잘 뭉쳐져서 함박눈이 내린다는 사실! 정말 신기하죠?
그런 의미에서 눈의 결정이 눈송이가 됨에 따라 내리는 눈의 종류가 달라진다는 점도 기억해 둔다면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겨울이면 온 세상에 찾아오는 하얀 눈을 기다려 보며, 눈이 내리는 이유도 머리 속에 저장해 두시면 좋겠네요. 새하얀 겨울왕국을 만난다면, 눈이 내리는 이유에 대한 답을 스스로 찾아볼 수 있게 될 테니까 말이죠!
'Information Center > 생물과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걀후라이를 닮은 봄꽃 샤스타데이지 개망초(계란꽃) 꽃말과 특징 알아봐요 (0) | 2022.06.18 |
---|---|
비가 온 뒤에 찾아오는 무지개의 원리 (0) | 2019.02.14 |
봄과 함께 찾아오는 꽃샘추위의 정확한 뜻에 대해 알아봤어요 (0) | 2019.02.03 |
산수유는 잎이 아닌 샛노란 꽃이 먼저 피어나며 봄을 알리는 나무! (0) | 2018.03.31 |
반복되는 미세먼지와 한파의 반비례 관계, 해결책이 절실합니다 (0) | 2018.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