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일일 신규 확진자가 1,000명대를 넘어서게 되면서 이번 주 월요일부터 2주 동안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시행이 확정돼 진행 중입니다. 이렇듯 여전히 확산세가 이어짐에 따라 4차 대유행이 현실화 되었기에, 철저한 개인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코로나 19예방에 힘쓰는 일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 코로나보다 전파력이 약 2.7배 강한 것으로 알려진 델타 변이가 성행하는 상황이라 주의해 주셔야 하겠습니다. 델타 변이는 작년 10월 인도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영국에서 발발한 알파 변이보다도 약 1.4~1.6배 강력한 전파력을 가졌다고 하니 이 또한 기억해 주셔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앞서 언급한 코로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전파력 관련 특징에 더해 감염 증상 및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델타 변이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우려 변이 중 하나로써 계통 분류체계는 B.1.617에 해당한다고 해요.
♣ 델타 변이 감염 증상 : 두통, 콧물, 인후염, 복통,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관절통, 청력 손상 등
델타 변이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콧물, 인후염 등이 확인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하여 일반 감기의 초기 증상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데 이외에 환자마다 복통,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관털통, 청력 손상 등도 발생하고 있어 편차가 큰 편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생존을 위하여 끊임없이 변이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이러스인 만큼, 그로 인해 찾아오는 바이러스의 증상과 전염력의 강도는 반비례한다고 해요. 한 마디로, 치명률이 높아서 감염되자마자 심각한 증상을 불러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숙주로 자리잡은 인간의 활동을 제한시키기에 많은 사람을 감염시키지 못할 확률이 상당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델타 변이는 감기와 크게 다르지 않은 증상을 확인하게 해주므로 앞서 언급한 것과 반대로, 전염력이 매우 강한 편에 속한다고 이야기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게 전염력이 상당한 대신에 치사율(치명률)은 0.1% 정도로 낮다고 하니 이 부분은 머리 속에 넣어두는 편이 좋지 않을까 싶어요.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델타 변이가 남다른 전파 속도를 보유하고 있으니 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와 함께 잠복기가 2~3일 정도로 짧다는 점도 숙지를 해두어야 하겠습니다.
♣ 코로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 예방법? 백신 접종과 마스크 착용의 생활화
앞서 이야기한 코로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 예방법으로는 백신 접종이 가장 강력한 해결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도입된 코로나 백신은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얀센이며 모더나와 노바벡스가 추가로 공급될 예정이라고 하니 정해진 연령대별 접종시기를 기억해 예약 후 코로나 백신 예방접종주사를 맞는 게 중요하겠습니다.
다만 백신 접종으로 델타 변이를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한 건 사실이지만 100% 효과적이진 않으므로, 백신을 접종했다고 하더라도 실내외 마스크 착용과 사람 간 2m 간격 거리두기 및 손씻기의 생활화를 매일매일 실천해 주세요. 지역별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른 방역수칙 준수도 당연히 필수입니다.
지금까지 코로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 감염 증상 및 전파력 관련 특징 예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최근에 델타 변이와 더불어 작년 12월에 페루에서 처음 발견되어 남미를 중심으로 퍼져 나가는 람다 변이와 관련된 위험성도 제기되었으니, 당분간은 불필요한 만남과 이동을 자제하며 조금 더 힘내 보아요. 코로나로부터 안전해질 날이 하루 빨리 오기를 소망합니다.
'Information Center > 생활정보 수집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계획 8~9월] 18~49세 사전예약 10부제 도입 내용 파악하세요 (0) | 2021.07.31 |
---|---|
TV 켰을 때 나오는"입력신호가 약하거나 없습니다" 메시지 문제 해결법 (0) | 2021.07.30 |
수도권 방역 조치 강화로 코로나 백신 접종자도 실내외 마스크 착용 필수, 야외음주는 밤 10시 이후로 금지됩니다 (0) | 2021.07.06 |
우체국 등기 2번 반송처리 알림 전화는 보이스 피싱입니다 (0) | 2021.07.02 |
7월부터 달라지는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4단계 주요 방역수칙 내용은? (0) | 202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