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새해가 밝아오자마자 각종 공공요금 인상안 소식이 들려와 심란한 요즘입니다. 해가 거듭될수록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을 실감할 수 밖에 없는 게 사실이긴 하지만, 올해는 물가상승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정부가 인상폭을 높이기로 결정한 상황이라 마음이 무겁네요.
오늘은 그런 의미에서 2023 공공요금 인상안 중에서도 가스요금, 전기요금, 지하철요금, 버스요금, 택시요금, 따릉이요금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눠 볼까 합니다. 우리가 먹고 살기 위하여 반드시 지불해야 하는 요금인 만큼 미리 체크해서 대비를 해두는 일이 필요해 보입니다.
일단 가스요금 같은 경우에는 다행스럽게도 1분기는 동결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2분기부터 인상될 가능성이 다분하므로 마냥 안심하기에는 힘든 실정이에요. 왜냐하면, 1분기 가슴요금 동결의 이유가 겨울철 난방비 부담을 감안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덕택에 2분기 가스요금 인상 발표가 벌써부터 두려워지기 시작했습니다.
반면, 전기요금은 2023년 1분기 인상률이 무려 9.5%로 역대 최대 인상폭을 자랑해서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습니다. kWh당 13.1원을 인상한 것으로써 4인 가구 월평균 전기요금이 약 4천원 오른 수치임을 확인하게 해줘서 놀라움이 컸어요. 대신, 장애인 및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등의 에너지취향계층의 전기요금은 일부 동결을 결정지었다고 하니 이 점은 기억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전기요금은 1981년 2차 오일쇼크(석유파동) 이후로 최대폭의 인상을 감행한 것이라고 하네요. 30조원에 달하는 한전의 적자를 더 이상 가만히 보고 있을 수 없음으로 인해 선택한 것이라고 하는데, 가정집과 더불어 자영업자들에게 커다란 부담으로 다가올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여기에 더해 대중교통요금도 인상을 계획 중에 있습니다. 서울 지하철 요금과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요금은 4월 말을 목표로 300원 가량 오른다고 하니, 이에 따른 마음의 준비를 해두는 게 좋을 듯 합니다. 그리하여 지하철 요금은 1,250원에서 1,550원 / 시내버스는 카드 기준 1,200원에서 1,500원을 지불해야 할 거라고 해요. 마을버스는 900원에서 1,200원이 된다네요.
참고로 서울 지하철 요금과 버스 요금은 7년 6개월째 동결 중이었답니다. 서울시는 2015년 6월에 지하철은 200원, 버스는 150원을 인상한 것이 마지막이었다고 하니 요금이 오를 때가 됐다고 생각은 하는데 막상 소식이 발표되고 나니 착잡한 맘을 감추기가 힘드네요.
하지만 이게 전부는 아닙니다. 2월 1일 오전 4시부터는 서울의 중형택시 기본요금이 1,000원 올라 3,800원에서 4,800원이 되고요. 기본거리마저 현행 2km에서 1.6km로 400m 줄어든다고 하니 아찔합니다. 게다가 모범 및 대형택시의 기본요금은 현행 3km당 6,500원에서 7,000원으로 500원이 오른대서 혀를 내두르지 않을 수가 없어요.
이와 함께 서울시내에서 대여하여 탈 수 있는 자전거 따릉이 또한 5월에 신규 요금제가 도입되면 일일권 1시간 이용 요금은 1,000원에서 2,000원으로 2배 오르고요. 1만 5000원이었던 180일권(1시간 기준)은 3만 5000원으로 변경된다고 하니 이 점도 머리 속에 넣어두세요.
가스, 전기, 지하철, 버스, 택시, 자전거 따릉이까지 포함된 2023년 공공요금 인상안 내용을 살펴보고 있자니 앞으로는 더욱 허리띠를 졸라매며 살아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고야 말았습니다. 특히, 출퇴근은 당연히 해야 하니까 제외하고 약속이 생기면 하루에 몰아서 해결을 하는 게 나을 듯 하네요. 대중교통요금 절약을 위하여 특단의 조치가 감행해야 할 듯 합니다.
새해부터 여러모로 머리가 바빠지는 요즘입니다. 그래도 방법이 없진 않을 테니, 힘을 내보기로 합니다! 대책 강구가 절실하네요.
'Information Center > 생활정보 수집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쉬는 날은 총 117일! 대체공휴일로 지정된 석가탄신일과 크리스마스 포함입니다 (0) | 2023.01.12 |
---|---|
설날 세배(절)하는 법 큰절 평절 반절 공수자세 남자 여자 왼손 오른손 위치 알아두세요 (0) | 2023.01.08 |
[포토스케이프 X로 블로그 서명 만들기] 매우 쉽고 간단하게 뚝딱 완성해요 (0) | 2023.01.01 |
생일에 미역국 케이크 면 음식 먹는 이유는 뭘까요? (0) | 2022.12.29 |
겨울에 찾아오는 동지 날짜 뜻 동짓날 음식으로 팥죽 먹는 까닭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