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카카오뱅크에서 반가운 소식이 온 것을 기념하여 이야기를 해보고자 이렇게 키보드를 두드려 봅니다. 카뱅에서 입출금통장을 처음 만들 당시에 한도계좌로 지정됨에 따라 모바일앱 이체 한도가 1일 기준 200만원 밖에 허용되지 않았는데요, 어느 정도의 일정한 기간이 지나자 증빙서류를 따로 제출하지 않아도 일반계좌로 자동 전환이 이루어져 이체한도가 늘어났습니다.
위와 같은 문자는 매월 1일에 발송이 되며, 계좌개설 이후에 기간을 두고 거래목적의 패턴을 살펴서 조건이 충족될 시에 자동적으로 해제돼 만나볼 수 있는 공지사항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카카오뱅크 계좌를 통해 입출금을 꾸준히 해왔는데, 아무래도 요게 도움이 되지 않았나 싶더라고요.
참고로 한도계좌란, 대포통장 근절을 포함한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 증빙서류가 없이도 소액 거래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계좌라고 보시면 됩니다. 금융거래 목적이 확인되기 전까진 소액의 거래만이 가능하지만, 금융거래 목적이 확인되면 그 이후에는 일반계좌로 전환이 가능해져 이체 한도를 증액할 수 있어요. 은행들마다 거래 금액의 상한선이 다를 수 있으니 이 점은 참고를 해주셔야 하겠습니다.
그중에서도 카카오뱅크는 다른 은행들과 달리 비대면 계좌 개설이 기본이므로, 일반계좌로의 전환을 위해선 필요한 서류 리스트를 이미지로 촬영한 다음에 첨부해서 심사를 받아야만 합니다. 이때 필요한 서류로는 급여 및 아르바이트 증빙자료, 세금 및 공과금 고지서 등이 존재하니 기억해 주세요.
그럼 지금부턴 카카오뱅크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체한도 확인 및 변경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이체한도 금액이 적다고 여겨진다면 증액 신청이 필요하겠고, 1일 200만원의 기준이 괜찮다면 그대로 계좌를 사용하다가 일반계좌로의 자동전환을 기다리는 것도 나름의 방법이 되겠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카카오뱅크 앱을 실행에 옮긴 뒤에 왼쪽 상단의 선이 세개 그려진 삼선 아이콘을 눌러주면 위와 같은 목록이 눈에 들어오는데, 여기서 '인증/보안' 카테고리를 클릭해 줍니다.
여기서 '인증/보안' 카테고리 목록 아래쪽에 자리잡은 '이체/출금 한도변경'이라고 쓰여진 부분을 다시 꾹 눌러주면 곧바로 다음 단계로 이동할 수 있게 돼요.
한 마디로, 이체 및 출금 한도의 변경을 위한 자세한 사항을 어렵지 않게 만나보는 것이 가능해지게 되는 거랍니다. 정말 쉽죠?^^
'이체한도 조회/변경' 목록에서는 모바일과 자동화기기, 각각의 현재 이체한도가 1일과 1회로 구분돼 이에 맞는 금액으로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이 금액은 여러분들이 직접 어플로 확인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보안등급에 따른 이체한도는 1등급, 2등급, 3등급에 따라 차이점이 존재해요. 단, 보안등급별 이체한도를 초과하는 증액을 원할 땐 영상통화로 본인인증을 완료한 다음 임시증액 신청을 하면 되니 이 점도 기억해 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임시증액이기 때문에 일정 기간의 설정을 해야 하고 그 시기가 지나면 자동으로 이체한도가 복귀되니 이 점도 염두해 두셔야 하겠지요.
단순히 이체한도 조회에서 그치지 않고 변경을 원한다면, '변경하기' 버튼을 눌러서 다음 단계를 진행해 주세요. 변경할 이체한도는 1일, 1회에 따라 정해진 최대 금액 안에서만 지정이 가능하니 이 점도 알아두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카카오뱅크를 애용하시는 분들이라면 한도계좌에서 일반계좌로 자동전환되었다는 연락에 당황하지 마시고, 이체한도 조회를 통해 금액을 확인한 뒤에 알차게 금융 생활을 즐기시면 좋겠습니다!
'Information Center > Money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납입(납부)금액 본인이 원하는 만큼 증액하는 방법, 간단합니다! (0) | 2019.10.01 |
---|---|
보험의 조건, 최소한 세 가지는 꼭 살피자! (0) | 2018.11.26 |
수수료체계가 서로 다른 멀티클래스 펀드에 대해 알아봐요 (0) | 2018.11.14 |
펀드투자 장단점, 알고 시작하면 좋아요! (0) | 2018.11.04 |
주식형펀드 vs 채권형펀드 vs 혼합형펀드, 각각의 차이점은 무엇? (0) | 2018.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