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에는 각각의 상품마다 그 유형과 특징에 따른 이름과 기호가 붙어 다니게 됩니다. 이러한 펀드는 운용사의 이름 + 운용특성 + 투자대상 + 펀드순번 + 수수료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되어진다고 이해하시면 쉬워요.
그런 의미에서 펀드에 가입하기 전, 관련 사항을 미리 숙지하는 일이 중요한데요, 이왕 재테크를 시작하기로 마음 먹었다면 철저한 공부가 필요한 것은 당연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예를 들어 A운영회사주식 1-B라는 이름을 가진 펀드를 해부해 보자면, (A)에서 운용을 하고 (운영회사)의 주요 그룹의 핵심 계열사에서 투자하는 펀드라는 사실을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뒤에 붙은 숫자 1은 A에서 운용하는 운영회사에 투자하는 펀드 중 1호라는 의미이며, B라고 붙은 것은 후취 수수료를 부과하는 펀드라는 사실을 알려준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오늘 이야기해 볼 것이 바로 펀드 이름 맨뒤에 붙는 알파벳에 따라 달라지는 펀드의 특성인데, 같은 펀드라고 해도 펀드의 수수료 매김 방식 및 운용형태로 인해 몇가지로 분류되는 것을 멀티클래스라고 부른다는 것을 먼저 알아둘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알파벳으로 구분하는 멀티클래스 펀드 종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해요!
A형 : 선취 수수료 펀드로 수수료를 미리 떼기 때문에 환매의 가능성이 존재하나 장기투자에 적합한 펀드
B형 : 환매계획이 없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일정기간 이전에 환매를 하게 될 경우 높은 판매 수수료를 부과하게 되는 후취형 펀드
C형 : 환매 가능성이 많은 투자자에게 알맞은, 선취 및 후취 수수료가 없는 대신 연간 신탁보수가 높은 유형의 펀드(참고로 대부분의 연 보수는 2.5%)
D형 : 선취 및 후취 수수료를 모두 내야 하는 유형의 펀드
E형 : 인터넷 전용 펀드
I형 : 법인 전용펀드
W형 : 랩어카운트 전용펀드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멀티클래스 펀드의 수수료체계는 위와 같아요. 본인이 투자하고픈 방식에 따라 펀드 수수료의 체계가 다르다는 것을 깨닫고, 그에 어울리는 펀드를 선택하는 것이 올바른 투자 방법이겠죠?
펀드에 처음 뛰어들 때 막무가내여서 수수료체계에 대한 감이 없었는데, 이번 기회에 알고 나니 괜히 더 뿌듯하네요. 그런 이유로 앞으로는 펀드투자를 더 잘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네요.
여러분들도 멀티클래스 펀드에 관심이 있다면, 앞서 언급한 사실을 꼭 기억해 주시길 바랄게요!
'Information Center > Money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의 조건, 최소한 세 가지는 꼭 살피자! (0) | 2018.11.26 |
---|---|
카카오뱅크 입출금통장 한도계좌에서 일반계좌로 자동전환, 이체한도 증액 확인 및 변경 방법 알아두기 (0) | 2018.11.24 |
펀드투자 장단점, 알고 시작하면 좋아요! (0) | 2018.11.04 |
주식형펀드 vs 채권형펀드 vs 혼합형펀드, 각각의 차이점은 무엇? (0) | 2018.11.03 |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챌린지] 튜브와 함께 목돈 저축 도전! (0) | 2018.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