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정해진 날마다 일반 쓰레기, 재활용품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해 배출하고 있습니다. 이중에서도 특히 고민이 되는 것은 음식물 쓰레기 분류 기준인데요,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올바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퇴비, 사료, 바이오가스 등으로 전량 자원화가 이루어지고 있긴 하나 이물질이 혼합해 배출됨으로써 이러한 자원화에 어려움을 겪는 중이라고 하니 이 점을 기억해 올바른 방법을 실천해야 하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음식물 쓰레기에 버리면 안 되는 것들에 대해 확인해 보도록 할게요.
음식물 쓰레기에 버리면 안 되는 것으로 쪽파, 대파, 미나리 등의 뿌리, 양파, 마늘, 옥수수 껍질, 생강, 고추씨, 고춧대(채소류)가 있고요. 도토리, 코코넛, 땅콩, 밤, 호도, 파인애플 등을 감싼 딱딱한 껍데기, 살구, 감, 복숭아 등 핵과류의 씨(과일류)도 마찬가지입니다.
닭, 돼지, 소의 털과 뼈다귀(육류)는 물론이고 소라, 전복, 꼬막, 조개, 멍게, 굴 등의 패류 껍데기와 가재, 게 등의 갑각류 껍데기, 복어내장, 생선뼈(어패류)도 안 돼요. 오리알, 메추리알, 타조알, 달걀 등의 껍데기(알껍질), 녹차를 포함한 각종 차류 및 한약재 찌꺼기, 왕겨(찌꺼기)도 여기에 포함이 돼요.
저는 특히 달걀 껍데기를 버릴 때 가장 많이 헷갈렸답니다. 딱딱한 껍데기라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되지 않는 게 맞아 보이면서도 아닌 것 같아 고민을 많이 했던 때가 있었어요. 위의 분류를 보면 아시겠지만, 기본적으로 음식물을 구성하는 재료 중에서 딱딱한 부분은 제외가 된다는 점을 참고로 기억해 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세부배출 기준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을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일단은 앞서 언급한 것을 기준으로 분리배출해 주신다면 문제가 될 일은 없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음식을 맛있게 먹은 뒤에 깔끔하게 치우는 것도 우리가 꼭 해야 할 일이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숙지하고 이에 맞게 실천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확실한 기준점을 파악했으니, 이제는 행동에 옮길 때가 됐다고 확신합니다. 그럼 오늘도, 맛있는 식사 즐기시고 음식물 쓰레기도 기준에 맞게 분리배출해 보아요!^^
'Information Center > 생활정보 수집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마어마한 차이점을 지닌 생활방수 vs 완전방수 기능 (0) | 2018.07.18 |
---|---|
여름과일 체리의 효능 확인, 체리씨는 삼키지 말고 뱉어주세요 (0) | 2018.07.11 |
더운 여름에 양산 대신 우산 써도 될까요? (0) | 2018.06.18 |
구워서 먹을 때 영양이 더 풍부해지는 과일과 채소 8종 (0) | 2018.06.14 |
껍질까지 버릴 수 없는 죽순 효능과 손질 및 보관법 (0) | 2018.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