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주문방법] 시장가, 조건부지정가, 최유리지정가, 최우선지정가, 장전시간외,장후시간외, IOC, FOK에 대하여
오늘은 HTS(홈트레이딩시스템)을 통해
주식을 사고 팔 경우에
주식 주문방법에 따라 차이나는 매매가격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주식 주문은,
위의 이미지를 확인해 보면 아시겠지만
어떤 종류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방법이 달라져요.
그런 의미에서
종류의 순서대로 하나씩
직접 소개해 드리도록 할게요.
1. 보통/지정가
기본적으로 가장 많은 투자자가 이용하는 방법은 지정가로,
보통이라고 쓰여진 글자를 클릭해서
주문을 내면 됩니다.
매매를 원하는 주식 종목의 수량과 가격을
본인이 직접 지정해서 주문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
단, 시장의 움직임에 따라서
주식 체결이 전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지정한 가격보다 불리한 조건으로는 거래가 성사되지 않는 대신,
본인이 정한 가격과 수량에 부합하는 상대의 주문이 없다면
유입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이 단점이에요.
2. 시장가
시장가는,
투자자가 종목과 수량만 본인이 지정하고
가격은 지정하지 않은 채로 주식을 주문하는 방법이에요.
시장가 주문으로 매수 시
매도호가 중 가장 낮은 가격으로 매수가 체결,
시장가 주문으로 매도 시
매수 호가 중 가장 높은 가격으로 매도가 체결됩니다.
빠른 매매체결을 원할 때 활용하는 방식인 건 맞지만
이로 인해 의도치 않은 가격에
주식을 사고 팔게 될 가능성이 다분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정가보다 우선한 주문이기에
즉시 매수와 매도가 가능한데요,
거래량이 폭등함으로써 주가가 급등하는
종목을 매수하고자 할 때 쓰임새가 많은 주문방법이라고 해요.
3. 조건부지정가
조건부지정가는 주식매매가 이루어지는
정규시간인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20분까지
지정가로 주문을 냈지만 체결되지 않았을 시에
장 마감 전 10분 동안의 단일가 매매시간에
시장가 주문으로 전환되는 것을 말해요.
즉, 조건이 맞지 않아
거래가 성사되지 않았을 시에는
그날의 종가로 매매가 됩니다.
4. 최유리지정가
최유리 지정가는 매매를 원하는 종목과 수량을 지정 후에
매매가격에 있어서는 상대방이 내놓은 주문 가운데서
가장 좋은 조건을 자동으로 선택해서 체결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매도 시에 가장 높은 매수 호가의 가격으로,
매수 시에 가장 낮은 매도호가의 가격으로,
즉 상대 방향의 최유리 가격으로 지정되는 주문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5. 최우선지정가
최우선지정가는 원하는 것과 같은 매수, 매도의 방향으로 나와 있던
다른 이의 주문 가운데 가장 유리한 최우선의 가격으로 자동 선택돼
그것과 같은 가격으로 주문이 체결되는 방식이에요.
최유리지정가와 반대로 매도할 땐 가장 낮은 매도호가,
매수할 땐 가장 높은 매수호가의 가격으로 주문이 된답니다.
6. 장전시간외
이 주문 방법은 말 그대로,
장전시간외의 매매시간에 사용할 수 있으며
오전 7시 30분에서 8시 30분에 전일 종가로 거래가 됩니다.
7. 장후시간외
이 주문 역시 이름처럼,
장후시간외 매매시간인
오후 3시 40분부터 4시까지 당일 종가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주문을 말합니다.
8. IOC, FOK (보통, 시장가, 최유리)
IOC주문은
Immediat Or Cancel Order의 약자로,
주문한 수량 중에서 체결 가능한 수량은 즉시 매매가 되고
나머지 잔량은 자동취소되는 조건의 거래입니다.
FOK주문은
Fill Or Kill Order의 약자로써
주문한 수량이 전부 체결될 수 있을 때 체결이 이루어지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모든 수량이 취소되는 조건의 거래랍니다.
참고로, IOC주문과 FOK주문은
보통(지정가), 시장가, 최유리 지정가 주문만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주식 주문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매매가격과 체결방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원하는 가격으로 주식을 거래하기 위해서는
생각보다 많은 고민과 연구가 필요해 보이는데요,
목표 수익을 달성하기 위해 이 정도는 기억해 두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럼 이제부터는,
보다 더 전략적인 주식 주문을 통해
제대로 된 투자와 매매를 시작해 보도록 해요^^